✔ 네트워크란?
Net + Work : 일하는 그물
네트워크는(Network)는 여러 대의 컴퓨터나 장치(물리적 전송 매체)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시스템.
다양한 장비가 데이터와 리소스를 전송, 교환 또는 공유할 목적으로 통신매체(Media)를 통해 연결하여 정보와 자료를 전달하는 조직 혹은 망을 의미.
- 컴퓨터 네트워크 : 하드웨어,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정보 및 리소스를 통신하고 공유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컴퓨터 그룹.
✔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
- 노드(Node): 네트워크에 연결된 개별 장치(컴퓨터, 서버, 프린터)로 둘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.
- 전송 매체(Transmission Media): 노드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 경로.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(Network Interface):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.
예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), 무선 LAN 어댑터
- 프로토콜(Protocol): 네트워트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칙과 표준의 집합.
예: TCP/IP, HTTP, FTP
- 라우터(Router):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달하고 경로를 지정하는 장치.
- 스위치(Switch):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장치. 각 장치에 대한 MAC 주소를 알고 있어 데이터 프레임을 정확히 전달한다.
- 허브(Hub): 네트워크 장치 간 데이터를 단순히 전달하는 장치. 모든 포트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여,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.
✔ 네트워크의 종류
- LAN(Local Area Network): 근거리 통신망
좁은 범위(예: 가정, 사무실) 내에서 장치들을 연결한다.
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.
예: 가정 내 Wi-Fi 네트워크
- WAN (Wide Area Network): 원거리 통신망
넓은 범위(예: 도시, 국가, 대륙) 내에서 장치들을 연결한다.
다양한 통신 매체와 기술을 사용하여 연결한다.
예: 인터넷
- MAN (Metropolitan Area Network):
도시나 대규모 캠퍼스 내의 네트워크를 연결한다.
LAN보다 크고 WAN보다 작다.
- PAN (Personal Area Network): 개인 영역 네트워크
개인 장치(예: 스마트폰, 태블릿, 노트북) 간의 근거리 네트워크이다.
주로 블루투스나 USB를 사용한다.
- 가상 사설망(VPN, Virtual Private Network):
공용 네트워크(예: 인터넷)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연결하는 기술이다.
암호화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한다.
(글 추가)
✔ 네트워크 프로토콜
TCP/I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):
인터넷과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기본 프로토콜.
TCP: 데이터의 신뢰성과 순서를 보장한다.
IP: 데이터 패킷의 주소 지정과 라우팅을 담당한다.
HTTP/HTTPS(HyperText Transfer Protocol/Secure):웹 브라우징을 위한 프로토콜.
HTTPS는 HTTP에 SSL/TLS 암호화를 추가하여 보안을 강화한다.
추가 프로토콜: 프로토콜의 종류가 많아서 다음 글에서 계속 다룹니다.
- [추가 프로토콜 관련 링크]
✔ 네트워크 토플로지
- 버스 토폴로지(Bus Topology):
모든 장치가 단일 중앙 케이블(버스)에 연결되는 구조이다.
설치와 확장이 간단하지만, 케이블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.
- 스타 토폴로지(Star Topology):
모든 장치가 중앙 스위치 또는 허브에 연결되는 구조이다.
중앙 장치가 장애를 일으키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.
- 링 토폴로지(Ring Topology):
각 장치가 두 개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링 형태를 이루는 구조이다.
데이터는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며, 장애 발생 시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.
- 메시 토폴로지(Mesh Topology):
모든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되는 구조이다.
높은 신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지만, 많은 케이블과 포트가 필요하다.
✔ 네트워크 보안
- 방화벽(Firewall): 네트워크 경계를 보호하고 불법 접근을 차단하는 장치이다.
- 암호화(Encryption):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 중 도난이나 해킹으로부터 보호한다.
- 침입 탐지 시스템(IDS, Intrusion Detection System): 네트워크에서 의심스러운 활동을 감지하고 경고하는 시스템이다.
- VPN(Virtual Private Network):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.
(글 링크추가)
'네트워크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계층 구조 [3-Tier Architecture] (0) | 2024.10.02 |
---|---|
[네트워크] TCP/IP 4계층 (0) | 2024.09.10 |
[네트워크] OSI 모델 7계층 (0) | 2024.09.09 |